



1. 추진배경
대설로 인한 재해는 12월~ 2월에 주로 발생하고 근래에는 3월에도 발생, 도시지역의 교통체증과 차량의 미끄럼 사고와 함께 출근길 대혼란을 초래
적설시 상습정체구간과 주요 간선도로의 정확한 실시간 노면영상정보 확보 등 제설업무 및 도로관리업무 역량강화 대두
⇒ CCTV 영상분석기반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적·제설정보관리 추진
2. 본 사업의 선정 필요성
| 현황 및 문제점 | 개선방향(필요성) |
관 제 | ① 현재 무엇으로 도로의 적설 제설상태를 보고 있는가? CCTV ② CCTV 관제를 누가하고 있나? CCTV는 많은데 관제인력은 충분 한가? ③ 전국 지자체 CCTV 통합관제 센터에서는 CCTV의 증대로 육안 관제와 관제인력 증원 등 물리적 한계 대두되고 있음. | 정부부처 및 지자체는 CCTV 시스템의 점진적 증대에 비례한 관제요원증가 등 물리적 한계를 인지하고 이를 지능화하려는 정책을 추진 ex) 해변 안전 지능형 CCTV시스템,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 구축 등 적·제설관제시스템도 지능화 도입 필요 |
시스템 (기능) | ① 어디에 제설을 해야 하나? ② 제설이 얼마나 진행 되었나? ③ 염화칼슘량이 얼마 남아 있나? ④ 제설차량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나? ⑤ 적·제설현황을 직관적으로 볼 수는 있는 방법은 없나? - 제설업무지원시스템 | CCTV 영상분석기반의 지능형 적설·제설정보관리시스템 구축 - 네비게이션에서 구간별 실시간 교통 상황을 제공하듯이 - CCTV로 적설상태를 실시간 분석하여 구간별 우선 제설작업 대상지를 GIS맵 제공 서비스 |
시스템 (기능) | ⑥ 현존하고 있는 제설업무지원 시스템의 기능은? - GPS를 부착한 제설차량이 1차 제설을 한 경우 제설한 곳을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으나, - 다음 제설작업을 어디부터 해야 하는가는 CCTV를 보고 직접 지시 해야 함. - 즉, 제설차량이 지나간 곳은 아는데 적설상태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어디를 추가적, 우선적 으로 제설작업을 해야 하는가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없음. | - 적·제설상황과 차량의 이동 동선 및 제설업무량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서비스 - 추가기능 : 구간별 적설 및 제설 현황, 우선 제설대상지, 제설작업 현황, 차량동선, 대기차량현황, 총 제설업무량, 염화칼슘 재고량 등 GUI 형태의 서비스 제공 - 재난종합상황실, 제설부서(PC), 제설차량(태블릿) 실시간 모니터링 으로 신속하고 효율적 제설 지원 |
향후계획 (확산성) | 지자체, 도로관리청, 기상청 등 공공분야 확산을 통한 도로 제설정보 연계 허브를 구성하고 한국교통방송 및 네비게이션사와 실시간 적·제설 교통정보 서비스를 공유하여 국민안전 확산 기여. |
3. 사업개요
사업유형 : 풍수해저감시설
사업목적
- 이상 기후로 인한 폭설과 도로상 재난사태 발생에 대비하여,
지능형 CCTV 영상분석기반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통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설작업 및 적·제설정보관리 수행
사업기간 : `20. 12월 ~ `21. 12월 (13개월)
사 업 량 : 지능형 적·제설정보관리시스템 1식
총사업비 : 800백만원 (특교세 800)
사업내용
- 방범용 CCTV 영상에 지능형 영상분석기술을 적용, 적설상태를 CCTV로 실시간 분석하여 구간별 우선 제설 대상지를 GIS 맵으로 자동 제공하고,
- 적설·제설상황, 차량의 동선 및 제설업무량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적설·제설정보관리서비스 구축
4. 추진계획
가. 추진목표
나. 추진전략
CCTV, 사물인터넷(IoT) 등 ICT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안전, 교통, 기후변화 등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,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응 전략 수립
지능형 CCTV 영상분석기술을 적용한 적설·제설감지/분석/제공시스템을 개발하여 지자체「CCTV 통합관제센터」, 도로관리청, 기상청 등 전국으로 확산 적용할 수 있도록 모델화 추진
도로 노면상태(적설, 제설, 포트홀 등) 감시체계 고도화를 통한 교통안전정보서비스 구현
다. 추진일정
사업기간 : 2020년 12월 ~ 2021년 12월 (13개월)
프로젝트 착수, 협의조정 및 사업계획, 예산확보(3회 추경) : `20. 12월
시스템 구현기능 설계, 보안성 검토, 사업발주 : `21. 1월 ~ 3월
사업자선정 및 시스템 구축, 시운전, 홍보 : `21. 4월 ~ `21. 11월
시스템 안정화 : `21. 12월
※ 인공지능(AI)기반의 시스템은 장기간의 반복학습(시험운영) 필수
5. 세부 사업내용
가. 기초자료수집
2020년도 적설 영상 확보
- 실제 눈이 온 영상이 없는 경우 개발 자체가 불가능
- 사업을 준비하면서 금년 2월에 눈이 내려 300대 이상 카메라의 적설 및 제설 과정의 영상 확보
나. 시스템 구성도
다. 지능형 적·제설정보관리 제공서비스(GUI) 목표 모델
One Step Process의 적설·제설정보관리 주요기능
- 실시간 노면상태(적설, 제설) 정보를 제설부서 및 유관기관에 GIS 맵으로 제공하여 응급 제설작업 등 예방적 제설작업 지원
- 재난종합상황실, 제설업무부서(PC용), 제설차량(태블릿용) 실시간 모니터링 지원
- 제설 작업대상지 및 차량의 동선, 작업상태 파악하여 제설이 필요한 구간에 배치함으로써 제설작업을 효과적으로 운용
- 관할지역의 장비, 인력, 제설제를 실시간으로 관리 지원
- 기상정보, 대기차량현황, 염화칼슘량, 지역별 제설작업현황 등 제설업무지원 등
6. 기대효과
ㅇ AI 기반의 과학적 재난현장정보의 파악과 CCTV 영상분석을 통한 적설·제설정보시스템의 고도화 실현
ㅇ 실시간 적·제설 관리 및 제설차량 동선 모니터링으로 장비, 인력 및 제설자재의 효율적 운영 기대. 끝.
박인열 기자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
---|
|
||
|
||
|
||
|
||
|
||
|
||
|
||
|
||
|
||
|